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편-사람들 앞에서 말하기 – 발표가 무서운 너에게

by 행복한 하루예요 2025. 8. 9.

사람들 앞에서 말하기 – 발표가 무서운 너에게

“앞에만 서면 머리가 하얘져요.” “친구들이 다 쳐다보는 게 너무 부담돼요.” “말하다가 틀릴까 봐 겁나요.”

사춘기 학생들이 발표할 때 가장 많이 겪는 감정은 불안, 긴장, 두려움입니다. 하지만 말하기는 연습으로 바뀌는 기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람들 앞에서 말할 때의 불안을 줄이고, 내용을 조리 있게 말하는 구조를 알려드릴게요.

1. 왜 발표가 두려울까?

사람들 앞에서 말할 때 떨리는 이유는 단순히 말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나를 어떻게 볼까’ 하는 불안이 우리 뇌를 자극하기 때문이죠.

🧠 발표 공포를 만드는 심리 요인:

  • 실수하면 창피할 것 같은 불안
  • 친구들이 날 평가할까 봐 생기는 긴장
  • 내용을 까먹을까 봐 생기는 걱정

이 모든 건 ‘내가 어떻게 보일까’에 집중할 때 생깁니다. 말하기는 나를 표현하는 행위이지, 평가받는 시험이 아닙니다.

2. ‘틀리면 안 돼’ 대신 ‘전달이 목적’이라는 관점으로

발표를 잘하는 학생들의 공통점은 ‘완벽함’이 아닙니다. 그들은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말하기는 잘 말하는 게 아니라, 내 생각을 누군가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것입니다.

👉 발표할 때 이렇게 생각해 보세요:

  • “내가 이 말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핵심은 뭘까?”
  • “내가 말한 걸 듣고, 상대가 무엇을 느꼈으면 좋을까?”

이렇게 생각이 바뀌면, 말하는 자세도 달라집니다.

3. 발표 내용을 말하기 쉽게 정리하는 3단계 구조

STEP 1 – 결론부터 말하기 (1문장 핵심)

예: “저는 SNS가 사춘기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하고 싶습니다.”

STEP 2 – 이유나 근거 2~3가지 제시

예:

  • 첫째, SNS는 비교 심리를 자극합니다.
  • 둘째, 댓글과 반응에 과도하게 민감해지게 만듭니다.

STEP 3 – 나의 생각 or 제안으로 마무리

예: “그래서 저는 SNS를 쓸 때 ‘타인보다 나를 기준으로 보자’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발표 구조 템플릿:

✔️ 제 생각은 (결론)입니다.  
왜냐하면 첫째, (이유1), 둘째, (이유2)입니다.  
그래서 저는 (나의 제안 또는 마무리 생각)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3단계만 기억하면, 누구든지 조리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4. 발표 불안을 줄이는 실전 팁

1) 발표 전 30초 호흡 조절

말 시작 전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며 마음을 진정시키세요. 긴장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숨을 조절하면 생각도 정리됩니다.

2) 대본을 암기하지 말고, ‘키워드’ 중심으로 말하기

모든 문장을 외우려 하면 오히려 틀리기 쉽습니다. 핵심 단어만 기억하고 ‘말하듯이’ 전달하는 게 더 자연스럽습니다.

3) 실수했을 때는 이렇게 대처하기

❌ “아, 틀렸네요… 죄송합니다.” ✅ “방금 부분 다시 설명드릴게요.”

실수는 누구나 합니다. 중요한 건 침착하게 넘어가는 능력입니다.

5. 실전 발표 대본 예시

주제: 공부 스트레스, 어떻게 관리할까?

✔️ 제 생각은 ‘공부 스트레스는 정리 루틴으로 관리할 수 있다’입니다.

첫째, 머릿속이 복잡할수록 감정이 쌓여서 집중이 어렵습니다. 둘째, 정해진 루틴이 있으면 마음이 안정돼서 스트레스를 덜 느낍니다.

그래서 저는 매일 아침 10분 일정을 쓰고, 자기 전 5분 감정 정리를 추천합니다. 이렇게 루틴을 만들면 공부도 덜 힘들어집니다.

✔️ 오늘의 말하기 연습

📍 주제 하나를 정해보고 위 구조대로 말하기 연습을 해보세요.

예: “제가 좋아하는 음식은 김치찌개입니다. 첫째, 맛이 진하고, 둘째, 밥이랑 잘 어울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일주일에 한 번은 꼭 먹습니다.”

이렇게 일상 속 주제로 연습하면 발표가 익숙해집니다.


📘 다음 편 예고: 4편 – 진심이 닿는 말에는 구조가 있다

말은 그냥 떠오르는 대로 하는 게 아니라, 생각과 감정을 ‘구조화’할 때 더 진심이 닿습니다. 4편에서는 생각-감정-요청 흐름으로 말 설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감정살펴보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