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5편-말이 나를 만든다 – 자기소개 말하기 훈련법

by 행복한 하루예요 2025. 8. 10.

 

말이 나를 만든다 – 자기소개 말하기 훈련법

“자기소개 하세요.” 이 짧은 문장 앞에서 갑자기 머리가 하얘졌던 경험, 있지 않나요?

자기소개는 단순히 이름과 취미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나는 누구인가’, ‘내가 어떤 사람으로 보이고 싶은가’를 정리하는 훈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춘기 학생이 자기소개를 준비하고, 실제 상황에서 잘 말할 수 있도록 말하기 구조, 내용 구성법, 실전 예시를 알려드립니다.

1. 자기소개는 ‘자기 정리’다

많은 학생들이 자기소개를 막연히 생각합니다.

  • “음... 저는 조용한 성격이고요, 취미는 독서예요...”
  • “뭘 말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자기소개는 자기를 한 문장으로 표현하는 일입니다. 그 시작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아는 것’입니다.

✍️ 질문 3가지로 자기 정리 시작하기:

  • 나는 어떤 상황에서 빛나는가?
  • 나는 어떤 행동을 자주 하는 사람인가?
  • 나는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바탕으로 자기소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자기소개 말하기 구조 (3단 구성)

📌 기본 구조:

  1. 시작 인사 + 나를 한 문장으로 표현
  2. 성격 또는 강점 + 에피소드
  3. 마무리 멘트 + 나의 태도

예시 구조 설명:

1. 시작 “안녕하세요, 저는 책 속에서 답을 찾는 학생, ○○○입니다.”

2. 본문 “어릴 때부터 책을 좋아했고, 친구들 고민을 들을 때도 항상 관련 책을 추천하곤 합니다. 사람들이 ‘넌 얘기 들어주는 게 편하다’고 말할 때 제 자신이 더 명확해지는 느낌이 들어요.”

3. 마무리 “앞으로도 저는 질문을 멈추지 않고, 배움으로 성장하는 학생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3. 자기소개에서 자주 실수하는 표현

❌ 너무 평범한 소개:

  • “저는 평범한 학생입니다.”
  • “그냥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입니다.”

✅ 구체적이고 살아 있는 소개:

  • “저는 조용하지만, 관찰력 있는 성격입니다. 친구들 기분 변화를 잘 알아채는 편이에요.”

❌ 외워온 느낌의 말투:

  • “제 장점은 책임감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 나만의 표현으로 바꾸기:

  • “저는 맡은 일을 끝까지 책임지려고 하는 편이라, 조별과제 때 리더를 자주 맡게 됩니다.”

4. 상황별 자기소개 훈련 예시

📌 1) 친구들 앞에서 자기소개

“안녕, 나는 말은 적지만 관찰력이 좋은 ○○야. 수업 시간에 웃긴 상황을 잘 포착해서 나중에 만화로 그리곤 해. 조용해 보일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웃긴 면도 있는 사람이라서 편하게 다가와 줘.”

---

📌 2) 진로캠프나 발표 자리

“안녕하세요, 저는 질문을 멈추지 않는 탐구형 학생 ○○입니다. 평소에 과학 다큐나 책을 보면서 ‘왜?’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는 습관이 있어서, 저는 탐구력이 강하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습니다. 앞으로도 생각하고 실험하면서 배우는 학생이 되고 싶습니다.”

---

📌 3) 입학 면접이나 학교 발표

“안녕하세요, 저는 글로 생각을 정리하는 걸 좋아하는 ○○입니다. 초등학생 때부터 독서록 쓰기를 즐겼고, 지금은 일기 대신 매일 생각노트를 씁니다. 글쓰기 덕분에 발표할 때도 생각이 정돈돼 있어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저의 이 점을 살려, 앞으로는 토론이나 글쓰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습니다.”

5. 자기소개가 ‘말’이 아니라 ‘나’를 보여주는 순간

사춘기에는 나에 대해 확신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소개는 그런 불안한 나를 정리하고 이해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보이고 싶은지, 어떤 관계를 맺고 싶은지를 말로 설계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보세요.

말이 곧 나를 만들고, 말을 준비하는 사람은, 인생도 준비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 오늘의 자기소개 연습

📍 아래 문장을 따라 자기소개 초안을 작성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나를 한 문장으로 표현) ○○입니다.  
저는 (성격/강점)을 가진 사람으로, (경험/행동 예시)를 자주 합니다.  
앞으로도 (태도/계획/마무리 표현). 감사합니다.

예:

“안녕하세요, 저는 ‘관찰하며 배운다’를 삶의 자세로 삼는 학생 ○○입니다. 저는 주변 상황을 세밀하게 보는 습관이 있어서, 친구들의 말투나 분위기 변화를 잘 알아차리는 편이에요. 앞으로도 관찰을 통해 더 깊이 배우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시리즈 마무리 – 말하기는 연습이다

감정 말하기, 갈등 조절, 발표, 말 설계, 자기소개까지. 이 5편의 시리즈는 사춘기 학생의 실전 말하기 근육을 키우기 위한 훈련입니다.

말하기는 타고나는 게 아닙니다. 매일 말하고, 듣고, 정리해보는 연습이 말의 품격을 만듭니다.

당신의 말이 당신을 만들고, 그 말이 세상과의 관계를 바꿉니다.

 

 

      4편-진심이 닿는 말에는 구조가 있다 – 말의 설계 훈련

 

      5편-말이 나를 만든다 – 자기소개 말하기 훈련

감정살펴보는 사람